글 수 18
|
|
1. 국명과 지역 이름의 표기: 고유 명칭과 영어식을 혼용했다. 국명이 시대에 따라 달리 불린 경우, 역사적 의미일 때는 당시의 이름으로 표기했고, 보통 국명일 때는 현재의 이름으로 표기했다.
2. 일반화되지 않은 일본식 한자 및 중국식 한자 표기: 될 수 있는 한 우리말로 바꿔보려 했다(예:土司를 토착유지, 土官을 지역관리, 流官을 파견관리, 藩屬國을 변두리 속국).
3. 베트남어 표기: 지역(남북)에 따라 같은 단어를 두고 발음과 뜻이 다른 경우도 적지 않은데 가능한 공통어 발음(하노이)을 따르고자 했다(예: Ngo는 응오, Ngu는 응우, Tra는 짜, Ra는 자, Phu는 푸, Fa는 화, Cha는 차). 성조표기 및 Ð, D의 구분없이 알파벳으로 표기했다.
4. 일본어 및 영어 등 외국어 표기: 외래어화 된 것은 우리말 표기에 따랐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발음에 가깝게 표기했다. 번역어 이상의 의미거나 일상화 된 것은 발음에 따라 표기했다(예: 내셔널리즘, 에스니씨티, 네이션, 이데올로기).
5. 각주는 옮긴이가 달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