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18
|
|
교육학 분야와 심리학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검사들은 크게 지적 검사와 정의적 검
사로 나누어질 수 있다. 지적 검사는 정신적 능력을 확인하는 검사이고 정의적 검사는 마음을
확인하는 검사이다.
지적 검사는 다시 교과와 관련된 검사가 있고 교과와 관련이 없는 검사가 있다. 교과와 관
련된 검사는 의도적으로 계획적으로 가르친 결과 어느 정도 성취되었는가를 확인하는 검사로
서 학교에서 실시되는 중간고사 기말고사 등이 이에 해당한다. 반면에 교과와 관련이 없는 검
사는 의도적 계획적으로 가르치는 것과 비교적 관련이 없는, 주로 성장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지적 특성을 확인하는 검사로 지능 검사 적성 검사 창의력 검사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정의적 검사 역시 교관 관련 검사와 비교과 관련 검사로 나누어지는데 전자들에는 교육의 결
과로 성취되는 미술 음악 문학 도덕적 특성을 확인하는 검사로 주로 실기에 의해 성취정도를
확인한다(이 분야의 지필검사는 앞서 말한 교과 관련 지적 검사에 해당한다). 교과와 관련이 없
는 정의적 검사들에는 의도적 교육과 비교적 관련이 없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특성을 확인하는
검사들로서 성격 검사, 흥미 검사, 태도 검사, 자아개념 검사, 동기 검사, 습관 검사 등이 있다.
본서는 지적 검사이건 정의적 검사이건 교과교육과 관련이 없는 영역에 관한 검사를 다룬
다. 비교과 지적 검사들인 지능 검사, 적성 검사, 창의력 검사, 비교과 정의적 검사들인 성격
검사, 흥미 검사, 자아개념 검사, 동기 검사 등을 다룬다. 본서는 이외에 이런 검사들과 관련되
는 기본적 통계, 신뢰도와 타당도, 검사의 제작 과정, 요인분석을 다룬다.
본서는 기존의 심리검사 저서들과는 몇 가지 점에서 다르다. 첫째, 기존의 저서들이 교육학 분
야보다 심리학 분야에 치우쳐져 있었는데 본서는 기존의 심리학 분야에다가 교육학 분야를 추가
하여 균형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교육학 분야의 심리검사의 대표적 검사가 적성 검사이다. 적성
검사는 교육에서 진로지도와 연구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몇 가지 적성 검사들을 소개하였다.
이외에 생활지도나 교육연구에 자주 사용되는 흥미 검사, 일반 성격 검사, 자아개념 검사, 동기
검사 등을 소개하였다. 둘째, 기존의 평가 서적이나 심리검사의 서적에 소개되어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심리검사에서 신뢰도와 타당도는 핵심적 개념
이다. 기존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개념적 혼란과 산출방식의 부적절성을 가지고 있는데 어떤 점
들이 문제이고 그것을 해결하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저자가 다년간 연구한 결과를 간략하게 설명
하였다. 셋째, 요인분석을 소개하였다. 요인분석이란 여러 검사들에 존재하는 공통적 요인을 추
출하는 방식이다. 기존의 우리나라 심리검사 서적들에는 요인분석에 대한 언급이 없거나 있더라
도 요인분석의 구체적인 방법이 소개되어 있지 않다. 요인분석은 심리검사의 개발과정에서 크게
영향을 주었으나 요인분석의 과정이 복잡하고 난해해서 일반인이 이해하기에는 너무 어렵다. 다
행이 요인분석의 과정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는 외국의 저서가 있어 이를 소개하였다.
사로 나누어질 수 있다. 지적 검사는 정신적 능력을 확인하는 검사이고 정의적 검사는 마음을
확인하는 검사이다.
지적 검사는 다시 교과와 관련된 검사가 있고 교과와 관련이 없는 검사가 있다. 교과와 관
련된 검사는 의도적으로 계획적으로 가르친 결과 어느 정도 성취되었는가를 확인하는 검사로
서 학교에서 실시되는 중간고사 기말고사 등이 이에 해당한다. 반면에 교과와 관련이 없는 검
사는 의도적 계획적으로 가르치는 것과 비교적 관련이 없는, 주로 성장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지적 특성을 확인하는 검사로 지능 검사 적성 검사 창의력 검사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정의적 검사 역시 교관 관련 검사와 비교과 관련 검사로 나누어지는데 전자들에는 교육의 결
과로 성취되는 미술 음악 문학 도덕적 특성을 확인하는 검사로 주로 실기에 의해 성취정도를
확인한다(이 분야의 지필검사는 앞서 말한 교과 관련 지적 검사에 해당한다). 교과와 관련이 없
는 정의적 검사들에는 의도적 교육과 비교적 관련이 없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특성을 확인하는
검사들로서 성격 검사, 흥미 검사, 태도 검사, 자아개념 검사, 동기 검사, 습관 검사 등이 있다.
본서는 지적 검사이건 정의적 검사이건 교과교육과 관련이 없는 영역에 관한 검사를 다룬
다. 비교과 지적 검사들인 지능 검사, 적성 검사, 창의력 검사, 비교과 정의적 검사들인 성격
검사, 흥미 검사, 자아개념 검사, 동기 검사 등을 다룬다. 본서는 이외에 이런 검사들과 관련되
는 기본적 통계, 신뢰도와 타당도, 검사의 제작 과정, 요인분석을 다룬다.
본서는 기존의 심리검사 저서들과는 몇 가지 점에서 다르다. 첫째, 기존의 저서들이 교육학 분
야보다 심리학 분야에 치우쳐져 있었는데 본서는 기존의 심리학 분야에다가 교육학 분야를 추가
하여 균형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교육학 분야의 심리검사의 대표적 검사가 적성 검사이다. 적성
검사는 교육에서 진로지도와 연구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몇 가지 적성 검사들을 소개하였다.
이외에 생활지도나 교육연구에 자주 사용되는 흥미 검사, 일반 성격 검사, 자아개념 검사, 동기
검사 등을 소개하였다. 둘째, 기존의 평가 서적이나 심리검사의 서적에 소개되어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심리검사에서 신뢰도와 타당도는 핵심적 개념
이다. 기존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개념적 혼란과 산출방식의 부적절성을 가지고 있는데 어떤 점
들이 문제이고 그것을 해결하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저자가 다년간 연구한 결과를 간략하게 설명
하였다. 셋째, 요인분석을 소개하였다. 요인분석이란 여러 검사들에 존재하는 공통적 요인을 추
출하는 방식이다. 기존의 우리나라 심리검사 서적들에는 요인분석에 대한 언급이 없거나 있더라
도 요인분석의 구체적인 방법이 소개되어 있지 않다. 요인분석은 심리검사의 개발과정에서 크게
영향을 주었으나 요인분석의 과정이 복잡하고 난해해서 일반인이 이해하기에는 너무 어렵다. 다
행이 요인분석의 과정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는 외국의 저서가 있어 이를 소개하였다.